서울시 청년해외봉사단 2025년 단원 모집 공고 가 올라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신청 공고가 5월쯤 있을 것 같습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에 관한 신청 자격, 지원 금액, 신청 방법 까지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하였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꼭 확인하고, 월세 지원 혜택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 월세 지원은 서울특별시(지자체별로 실시함)에 거주하는 청년 중 일정 소득과 재산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월 20만원 최대 12개월간 월세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월세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신청자 수요가 높은 인기 복지 정책 중 하나입니다.
2025년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대상은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2024년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은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간 지원됩니다. 본인의 월세 실지급액에 따라 차등 지원되며, 신청 시 월세 금액을 기준으로 지원액이 산정됩니다.
예를 들어, 월세가 20만 원 이하라면 해당 금액 전액 지원, 25만 원이라면 20만 원까지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은 임차보증금, 월세 및 소득 기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선정하며, 신청 인원이 모집인원(25,000명)을 초과할 경우 구간별 전산 무작위 추첨을 통해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 구간 | 임차보증금 및 월세액 | 소득기준 | 선정인원(명) |
|---|---|---|---|
| 1 | 임차보증금 5백만원 이하이고, 월세 40만원 이하 | 중위소득 120% 이하 | 11,250 |
| 2 | 임차보증금 1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50만원 이하 | 중위소득 120% 이하 | 7,500 |
| 3 | 임차보증금 2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원 이하 | 중위소득 120% 이하 | 3,750 |
| 4 |
임차보증금 8천만원 이하이고, 월세 60만원 이하 ※ 월세 60만원 초과자 중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96만원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 (이 경우에도 임차보증금은 8천만원 이하이어야 함)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거 환산율은 5.5%를 적용 |
중위소득 150% 이하 | 2,500 |
| 가구원 수 | 40% | 50% | 100% | 150% |
|---|---|---|---|---|
| 1인 | 956,805원 | 1,196,007원 | 2,392,013원 | 3,588,020원 |
| 2인 | 1,573,063원 | 1,966,329원 | 3,932,658원 | 5,898,987원 |
| 3인 | 2,010,141원 | 2,512,677원 | 5,025,353원 | 7,538,030원 |
| 4인 | 2,439,109원 | 3,048,887원 | 6,097,773원 | 9,146,660원 |
※ 신청 기간은 서울시 홈페이지와 서울청년포털에서 별도 공지하며, 매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금은 선정 이후 매달 본인 계좌로 입금되며, 매월 월세 납부 영수증 또는 계좌이체 확인서를 제출해야 지속적으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일로부터 소급 적용은 불가능하며, 지원금은 신청 이후 선정된 달부터 지급됩니다.
2025년에도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는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조건만 충족된다면 매달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실질적인 주거비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많은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지원금은 신청한 달의 월세부터 적용되므로 공고가 뜨는 즉시 빠르게 접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복잡하지 않으니 서울 청년 포털에서 신청 절차 확인하고, 올해 꼭 지원금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