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해외봉사단 2025년 단원 모집 공고 가 올라왔습니다.

이미지
   서울시 청년해외봉사단은 단원 모집 공고가 올라왔습니다. (5월 20일까지) 만 19~39세 서울 청년에게 1개월간 라오스·우즈베키스탄에서 환경개선, 교육, 복지 등 실질적 봉사와 글로벌 교류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체재비·항공료 등 전액 지원, 국내교육·멘토링 등 다양한 성장 경험을 할 수 있으니, 서울 청년이라면 꼭 도전해보세요! 1️⃣ 모집 개요 모집명: 2025 서울시 청년해외봉사단 3기 단원 모집기간: 2025.5.1.(목) 09:00 ~ 5.20.(화) 16:00 모집인원: 130명 지원자격: 만 19~39세 서울 거주 청년(1985.5.2.~2006.5.1. 출생, 의무복무 제대군인은 최대 3년 연장) 파견지역: 라오스, 우즈베키스탄(파견기간 1개월) 신청방법: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 온라인 신청(신청서류 서식 홈페이지 참고) 지원내용: 해외 체재비(주거비, 생활비), 항공료, 의료지원 등 전액 지원 ✅ 만 19~39세 서울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1개월간 라오스·우즈베키스탄 해외봉사 기회와 체재비, 항공료 등 전액 지원 혜택이 주어집니다. 2️⃣ 선발 기준 및 자격요건 대한민국 국적, 서울 거주, 만 19~39세(공고일 기준) 심신 건강, 해외여행·국가공무원법 결격사유 없음 군필 또는 면제(미필자는 병무청 국외여행허가서 제출 가능자) 협력국 요청 자격 충족 및 여권 발급 결격사유 없음 사회배려청년 및 시정기여자 가점(증빙서류 필수, 중복 불가) ✅ 건강·법적 결격사유가 없고, 서울 거주 청년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사회배려·시정기여자에게 가점이 부여됩니다. 3️⃣ 선발절차 및 일정 구분 일정 비고 접수 5.1.(목)~5.20.(화) 온라인 신청 1...

청년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 보증료 지원, 어떻게 받을까?

      
전세 보증금 보증료 반환 지원


요즘 전세사기, 뉴스에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죠? 

저도 주변에서 비슷한 걱정하는 친구들이 정말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제도를 쉽고 솔직하게 정리해봤어요. 

 처음 듣는 분들도, 이미 들어봤지만 헷갈렸던 분들도 이 글 한 번 읽고 꼭 도움 받으시길 바라요!


1️⃣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이란?

간단히 말하면,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예: HUG, HF, SGI 등)에 가입할 때 내는 보증료를 정부나 지자체가 돌려주는 제도예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은 혹시 집주인이 전세금을 안 돌려줄 때 보증기관이 대신 물어주는 안전장치죠. 그런데 이 보증에 가입하려면 몇 만 원에서 많게는 30만 원 넘게 보증료를 내야 하거든요. 

청년 입장에선 이마저도 부담될 수 있으니, 정부와 지자체가 보증료를 지원해주는 겁니다. 덕분에 청년들은 전세집 구할 때 한결 마음이 놓이죠.

2️⃣ 지원 대상 나도, 해당될까?

  • 연령: 만 19~39세(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음)
          📌경기도, 부산 만 34세이하, 전남 만 45세 이하,등등 지자체 별도 다릅니다.
  • 거주지: 해당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 무주택자: 본인 및 배우자 모두 무주택자
  • 소득 기준: 본인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신혼부부는 7천만원 이하)
  • 임차보증금: 3억 원 이하(수도권 기준, 지역별 상이할 수 있음)
  • 기타: 신청일 기준 보증 효력이 유효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HUG, HF, SGI 등)에 가입한 임차인

예를 들어, 서울시의 경우 만 19~39세 청년 중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 지역별로 연령, 소득, 임차보증금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세부 요건을 확인하세요.

3️⃣ 지원 내용,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나요?

  • 지원금액: 청년 및 신혼부부는 납부한 보증료 전액(최대 30만 원) 지원,
  • 지원방식: 본인이 이미 납부한 보증료를 신청 후 계좌로 환급

예를 들어, HUG(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면서 25만 원의 보증료를 냈다면, 신청 후 심사를 거쳐 이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보증료가 35만 원이라면 최대 지원 한도인 30만 원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4️⃣ 신청 방법, 어렵지 않아요!

  • 보증 가입: HUG, HF, SGI 등 보증기관을 통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하고 보증료 납부
  • 신청 준비: 보증료 납부 영수증, 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소득증빙 등 필요서류 준비
  • 신청:
    • 💻 온라인: 정부24, 지자체 홈페이지, 경기민원24 등에서 간편하게 신청
    • 🏢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시·군·구청 방문
  • 심사 및 지급: 서류 심사 후 본인 계좌로 지원금 지급(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음)

신청 과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보증료 납부 영수증 등 증빙서류를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라인 신청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정부24나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빠르고 편리하게 접수할 수 있습니다.

전국 주요 청년정책 포털 및 신청 사이트 안내

지역 청년정책 포털/신청 사이트
서울 youth.seoul.go.kr(청년몽땅정보통)
인천 www.gov.kr(정부24)
경기 gg24.gg.go.kr(경기민원24)
부산 young.busan.go.kr(부산청년플래폼)
대구 anbang.daegu.go.kr(대구청년安방)
경북 gbyouth.co.kr(경북청년e끌림)
경남 baro.gyeongnam.go.kr(경남바로서비스)
세종 www.gov.kr(정부24)
충남  www.gov.kr(정부24)

각 지역별 청년정책, 주거·금융 지원, 복지, 일자리, 커뮤니티 등 다양한 청년 지원사업은 위의 공식 포털에서 확인 및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책 내용은 해당 사이트에서 최신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

5️⃣ 활용 팁 및 실제 사례

  • 보증료 지원은 1회성 지원이므로, 전세 계약을 갱신하거나 이사할 때마다 새로 신청해야 합니다.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보증 가입 후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서울, 경기, 부산 등 주요 광역시·도에서 모두 시행 중이며, 일부 지역은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으로 대상을 확대 운영하기도 합니다.
  • 실제로 2024년 서울에 거주하는 28세 직장인 A씨는, 전세 계약 후 HUG 반환보증에 가입하고 27만 원의 보증료를 납부했지만, 시청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해 전액 환급받았습니다.

6️⃣ 참고사항 & 마무리

  • 지자체별로 세부 조건, 지원 한도, 신청 방법 등이 다를 수 있으니, 해당 지역 홈페이지 또는 청년센터, 주거복지센터, 콜센터(1599-0001)로 꼭 문의해보세요.
  • 보증료 지원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신청 후 지급까지는 보통 2주~한 달 정도 걸려요.

요약!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은 만 19~39세 무주택 청년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해 보증료를 납부한 경우,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온라인(정부24,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오프라인(행정복지센터 등)으로 신청할 수 있고, 실제로 많은 청년들이 실질적인 주거비 절감 효과를 체감하고 있어요.

혹시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해당 지자체 청년센터나 주거복지센터에 꼭 문의해보세요. 청년의 안전한 주거생활을 위한 든든한 지원제도, 이번 기회에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삼성 청년 SW·AI 아카데미(SSAFY) 14기 모집 접수 시작

수원 도시재단 기술창업 2025년 상반기 입주기업 모집 입니다

2025년 청년취업사관학교 영등포캠퍼스 디지털 마케팅 실무 프로젝트 과정 공고